the lines are erased while drawing 그리면서 지워지는 선, 2021,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단채널 영상, 컬러, 사운드, 33:13
Direction : Sunmin Park
Camera : Hyosook Chin
Edit : Dongkoo Jung, Sunmin Park
Sound: Jinseok Park
Machine Production : Sungjin Jang
Performance : Hyeon Wook Cha, Hyo Ri Cho, Dongkoo Jung, Sungjin Jang, Sunmin Park
Curator : Sooyoung Lee
Curatorial Assistance : Nayeon Kim
Commissioned by Gyeomggi Museum of Modern Art, 416 Foundation
Memorial Exhibition for the 7th anniversary of Sewol Ferry Disaster <Pearl Diver>
< The Pearl Diver 진주잠수부 > 세월호 참사 7주기 추념전
경기도미술관 기획전
- excerpted preview version
The lines that are erased while drawing
;About the form and material of sadness
Feelings that fill up the deep valley of one’s inner world have a tendency to find a way out. Even so, it is tremendously difficult to refine and describe one’s feelings into language, and convey the latter to another being. The versatile abstract quality and fragility of feelings are the very base for misreading and misunderstanding, even though language can filter them partially with some difficulty. Mostly, resulting unfathomable states are confirmed and such feelings that cannot be conveyed properly become more isolated than ever before, falling into the abyss of loneliness. Any attempt made by concrete language to describe such abstract state of mind is bound to slip in the end.
It is difficult to gauge how to portray, sympathize with, and accept the degree and impact of the collective grief caused by a certain disaster. The assumed totality will be the sum of gathered, overlapped, collided states of different mobile forms of emotions of an individual. The survival instinct to run away from the wounds inflicted by the experience of disaster makes us return to the memory of loss and wounds, but the point of return is erased and so the origin cannot be found. Since sadness does not halt at one clear point, it runs away from ongoing pain, but soon the sense of pain that gets reminded returns to the wound. Memories are not fixed and little by little, they move and fade away from the beginning, being combined with various factors of life while turning into other memories. This is why I believe profound sadness is a form that is slowly erased by drawing a spiral that circles the same place.
Which material does the spiral form of sadness use to create its trace?
The body reacts to feelings of sadness with tears. When you lose someone close to you, the deep feelings of sadness are expelled and materialized as liquid tears that do not easily stop falling. When tears run down your face, it's a salty taste that seeps into your mouth. This clear salty water reminds us of salty sea water.
When sea water meets shallow land and is isolated from the flow, and when the right conditions of temperature, wind, and time are all met, it loses water and turns into salt crystals. The rapid material change from shapeless sea water liquid to a hexahedral solid crystal is a dramatic change, almost a metaphor of the transition between life and death. Therefore, sadness repeats the process of being erased by drawing a spiral form with salt particles. Even if something disappears before your eyes, does it disappear forever? Is death a state of complete extinction? Salt will be scattered and while moving around the world, it will become water or crystal at some places, or meet other fine particles to become a new combined material, existing in new colorful forms without disappearing.
I don't know what death looks like in the end, but I imagine it to move about like a grain of salt that changes itself, and continues to change. It is probably moving toward somewhere else, after visualizing memory and oblivion with lines that are erased while drawing on the parking lot that used to be a memorial altar.
Written by Sunmin Park
그리면서 지워지는 선
;슬픔의 형태와 질료에 대하여
내면에 깊게 차오른 감정은 외부로 나가려는 속성을 가졌다. 그럼에도 언어로 감정을 정제하고 묘사해 소통하기는 얼마나 어려운가. 감정이 가진 그 변화무쌍한 추상성과 연약함은 언어로 어렵게 걸러 놓을 수 있다 해도 많은 오독과 오해로 결국은 이해 불가능을 확인하는 일이며 소통되지 못한 감정은 더욱 고립되고 고독에 빠진다. 그 추상에 대한 어떤 구체적 언어의 시도도 결국은 미끄러질 수밖에 없다.
재난이 야기한 집단적 슬픔의 정도와 파장을 어떻게 형용하며 공감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지 가늠하기 어렵다. 개인의 서로 다른 감정의 형태가 모여 겹치고 상충하며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는 것이 그 총체일 것이다.
재난의 경험이 준 상처로 부터 도망가려는 생존본능은 그 상실과 상처의 기억으로 다시 돌아오고 돌아온 곳은 그 사이 지워져 처음을 찾을 수 없다. 슬픔은 한 번에 정확히 멈추는 순간이 없기 때문에 지속되는 고통으로부터 도망가게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상기된 고통의 감각은 다시 상처로 돌아오게 한다. 기억은 고정되어있지 않고 처음으로부터 조금씩 이동하면서 희미해지고 삶과 결합하여 다른 기억이 되어간다. 깊은 슬픔은 그래서 같은 장소를 맴도는 나선을 그리면서 천천히 지워지는 형태라고 생각한다.
나선형의 슬픔은 어떤 질료로 흔적을 만드는 것일까?
슬픔의 감정에 몸은 눈물로 반응한다. 가까운 사람을 잃는 깊은 슬픔의 감정은 쉽게 멈추지 않는 눈물의 액체로 몸 밖으로 물질화된다. 눈물이 얼굴을 타고 흐를 때 입안으로 스며드는 그것은 짠 맛이다.
이 투명한 짠 물은 소금기의 바닷물을 연상시킨다.
바닷물이 얕은 땅을 만나 흐름에서 고립되면 뜨거운 태양의 온도와 바람 그리고 시간의 조건을 충족시킬 때, 물을 잃고 소금 결정체가 된다. 형태를 가지지 않던 액체의 바다가 육면체의 고체 결정으로 급격한 물질변화를 하는 것은 어쩌면 삶과 죽음의 전환에 비유할 만큼 엄청난 변화이다. 그러므로 슬픔은 소금의 입자로 나선형을 그리며 지워지는 과정을 반복한다. 눈앞에서 사라진다하더라도 그것은 영원히 사라지는 것인가? 죽음은 완전한 소멸인가? 소금은 흩어져 세계를 이동하며 어딘가에서는 물이나 결정으로, 또는 다른 미립자와 만나 새로운 질료가 되어 사라지지 않고 새롭고 다채로운 모습으로 존재할 것이다.
죽음이 종료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지만 어딘가로 이동하고 변화하며 지속되는 소금알갱이처럼 그리면서 지워지는 선으로 이 분향소 자리였던 주차장 위에서 기억과 망각을 형상화하다가 어딘가로 이동하고 있을 것이다.
박선민
Comments